뉴욕인턴이 전하는 똑똑해지는 경제지식 (21) 썸네일형 리스트형 [맨큐의 경제학] 시장과 경쟁이란? *본 포스트는 경제학을 공부하면서 학문 내용을 스스로 필기하여 정리하는 목적으로 사용됨을 밝힙니다. 수요와 공급이라는 두 단어는 경제학자들이 가장 자주 사용하는 용어인데, 여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고 한다. 수요와 공급은 시장경제 체제를 움직이는 원동력이기 때문이다. 수요와 공급은 각 재화와 생산량과 판매가격을 결정한다. 따라서 어떤 사건이나 정책이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알고 싶다면, 먼저 그 사건이나 정책이 수요와 공급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생각해봐야 한다. ㅇ 시장과 경쟁 수요와 공급은 경쟁시장에서 사람들이 상호작용하는 행위를 말한다. 구매자와 판매자의 형태를 분석하기에 앞서 '사장'과 '경쟁'의 의미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ㅇ 시장이란 무엇인가? 시장(market)이란 특정한 재화나 서비.. [맨큐의 경제학] 왜 경제학자들 간에 견해가 다를까? *본 포스트는 경제학을 공부하면서 학문 내용을 스스로 필기하여 정리하는 목적으로 사용됨을 밝힙니다. 미국 레이건 대통령은 경제학자들에게 100개의 질문을 던진다면 3,000개의 답변이 나올 것이라고 농담한 적이 있다. 왜 경제학자들은 상충되는 의견을 제시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일까? 다음 두 가지의 근본적인 이유가 설명을 도와준다. 1) 이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가에 대한 실증적 현실 인식이 서로 다를 수 있다. 2) 가치관이 다르기 때문에 경제 정책이 어떤 목표를 달성해야 할지에 대한 의견이 다를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관점으로 세분화해볼 수 있다. 1. 과학적 판단의 차이/ 2. 가치관의 차이/ 3. 인식 대 현실 ㅇ1. 과학적 판단의 차이 과거 과학자들이 지동설, 천동설 등 무엇.. [경제지식] 화페의 시간가치 *본 포스트는 경제학을 공부하면서 학문 내용을 스스로 필기하여 정리하는 목적으로 사용됨을 밝힙니다. 재무설계사가 기본적으로 갖춰야될 지식: 화폐의 시간가치 오늘의 100만원을 쓰지 않고 빌려주고 1년후에 받기로 했다면 당연히 이자를 받는 다고생각을 할 것 지금 현재와 1년 후 회수되는 100만원의 가치를 받게 된다면...? 이자라는 부분은 결국 시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보상의 성격을 포함하게 된다. 100만원을 빌려주고 연 10%의 이자를 받기로 했다면, 이자는 왜 받아야 하는 걸까? 이자가 발생하는 원인 1. 기회비용 은행예금, 누구에게 빌려주는데 운용, 주식,채권구매 물건 구매(소비지출) 어떤 용도로든 활용하기로 했다면 그외의 다른 대안을 선택할 수 없음 So, 기회비용을 청구해야 한다. 2. 위험 나.. [경제지식] 재무설계 및 금융 기초지식 *본 포스트는 경제학을 공부하면서 학문 내용을 스스로 필기하여 정리하는 목적으로 사용됨을 밝힙니다. 재무설계의 개념과 의의 ㅇ재무 목표란 무엇일까? 재무 목표는 소비자의 생애주기라던지 소비자가 처해있는 재무적인 상황이라던지 여건에 따라 목표는 충분히 달라질 수 있음 (궁극적으로 같는 목표) 일생동안 한정된 자원을 현재와 미래의 소비에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것 ㅇ금융의 의의 미래에 창출될 소득을 현재로 갖어와서 현재에 구입 미래의 잠재적 자원을 현재로 배분하는 것 소비자들의 일생에 걸쳐서 자원을 시간에 걸쳐 효율적으로 배분함 궁극적으로 생애 효용을 극대화를 위한 것 * 재무설계와 제태크 혼동가능 제태크= 자산의 증식 재무설계=자산의 증식을 포함할 수는 있지만 궁극적인 목표로 하긴 어렵다. 보다 궁극적이 것은.. [맨큐의 경제학]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 요약 *본 포스트는 경제학을 공부하면서 학문 내용을 스스로 필기하여 정리하는 목적으로 사용됨을 밝힙니다. 경제(Economy)는 원래 '집안 살림하는 사람' 의미를 갖는 'oikonomos'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누군가는 밥을 하고, 누군가는 옷을 만들고, 누군가는 빨래를 하고, 누군가는 청소를 해야 한다. 이를 사회에 적용한다면 각자의 역할을 가지고 자원을 생산하고 관리해야 한다. 그러나, 자원은 희소성(한 사회가 가지고 있는 자원의 유한성)을 가지고 있어 모두가 가지고 싶은 만큼 다 가질 수 없다. 경제학(Economics)이란 바로 '사회가 희소자원을 어떻게 관리하는지 연구하는 학문'이다. ㅇ기본원리 1. 모든 선택에는 대가가 있다. 우리가 직면하는 선택은 효율성(Efficiency)과 형평..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