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트는 경제학을 공부하면서 학문 내용을 스스로 필기하여 정리하는 목적으로 사용됨을 밝힙니다.
재무설계사가 기본적으로 갖춰야될 지식: 화폐의 시간가치
오늘의 100만원을 쓰지 않고 빌려주고 1년후에 받기로 했다면 당연히 이자를 받는 다고생각을 할 것
지금 현재와 1년 후 회수되는 100만원의 가치를 받게 된다면...?
이자라는 부분은 결국 시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보상의 성격을 포함하게 된다.
100만원을 빌려주고 연 10%의 이자를 받기로 했다면,
이자는 왜 받아야 하는 걸까?
- 이자가 발생하는 원인
1. 기회비용
은행예금, 누구에게 빌려주는데 운용, 주식,채권구매
물건 구매(소비지출)
어떤 용도로든 활용하기로 했다면
그외의 다른 대안을 선택할 수 없음
So, 기회비용을 청구해야 한다.
2. 위험
나한테 돈을 빌려간 사람이 1년 후에 돈을 제대로 상환할까?
거래 상대방의 채무 불이행의 불확실성,염려
위험이 크면 클수록 더 많은 대가를 요구하게 될것
통상적으로 요구하는 이자보다 더 높은 이자 요구
3. 유동성 제약
어떠한 자산이 현금으로 얼마나 빨리 전환될 수 있나?
100만원을 빌려준다면 현금이 가지고 있는 유동상을 잃는 것
채권을 양도할 수 있더라도 양도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쉽지 않음
유동성을 잃게 되는 데 따른 보상에 대한 이자
4. 인플레이션
1년은 비교적 짧은 기간이지만 5년, 10년의 경우,
오늘 100만원을 빌려주고 10년 후에 회수하면
100만원의 화폐가치가 지금과 다를 것.
물가가 많이 올라 있을 것
물가가 오른다는 것은 화폐의 구매력이 떨어지는 것
화폐의 구매력이 떨어지는 것은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
장기일수록 더 높은 이자율 청구
- 이자와 이자율
이자는 어떤 자본을 사용하는 대가로서 지급하는 비용
이자율은 비율의 개념으로서 내가 지금 거래하는 자금의 총액 대비해서 이자를 받는 비율이 얼마인가
거래되는 자본에 크기에 대한 이자의 비율
★자본의 가격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이자가 아니라 이자율!!!
100만원의 자금을 빌리면서 10만원 이자 지급
1000만원의 자금을 빌리면서 100만원 이자 지급
10만원,100만원은 이자금액
->자본의 가격 비교 곤란
하지만, 자본에 대비한 이자의 비율인 이자율로 비교하게 되면,
서로 자본이 얼마나 싸게 비싸게 거래되는지 비교가능
자본의 가격=이자
- 단리와 복리
100만원을 연 r%의 이자율로 빌려주면
1년후에 상환받는 원리금(원금+이자) = 100(1+r) = 100+100r(이자)
2년후에 상환받는 원리금 = 100(1+r)(1+r) 이자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이자가 가산됨. => 복리
1년후 단리로 원금을 빌려주면,
0 : 100
1년후: 100+100r
2년후: 100+100r+100r
'뉴욕인턴이 전하는 똑똑해지는 경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맨큐의 경제학] 수요란 무엇인가 (0) | 2021.04.14 |
---|---|
[맨큐의 경제학] 시장과 경쟁이란? (0) | 2021.04.14 |
[맨큐의 경제학] 왜 경제학자들 간에 견해가 다를까? (0) | 2021.04.14 |
[경제지식] 재무설계 및 금융 기초지식 (0) | 2020.10.16 |
[맨큐의 경제학]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 요약 (0) | 2020.10.16 |